목숨건데이터엔지니어
foot-data-engineering
목숨건데이터엔지니어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54)
    • 취업과 기본기 잡기 (11)
      • Python (2)
      • 자료구조 (1)
      • 알고리즘 (1)
      • 운영체제 (2)
      • 네크워크 (1)
      • 데이터베이스 (1)
      • SQL (1)
      • Linux (1)
      • Docker (1)
    • 더 나은 엔지니어가 되기위해 (11)
      • (AWS) api-gateway, kinesis (1)
      • (AWS) MWAA (1)
      • Apache Spark (1)
      • Apache Airflow (1)
      • Apache Kafka (1)
      • Apache Flink (1)
      • Hadoop (1)
      • 알쓸신잡 (4)
    • 데이터와 손잡기 (6)
      • 머신러닝(sklearn) (1)
      • 딥러닝 (3)
      • 오디오 처리 (1)
      • 데이터 시각화 (1)
    • 코딩테스트 잡기 (1)
      • [BOJ] 문제풀이 (0)
      • [프로그래머스] 문제풀이 (0)
      • [HackerRank] SQL (0)
      • 코딩테스트 후기 (1)
    • 토이 프로젝트 (4)
    • 각종 기술 삽질하며 익히기 - onpremise (11)
    • 학습과정 잡동사니 (7)
      • 오답노트 (7)
    • 평소 궁금증 파헤치기 (3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  • 아직 한참 부족하고 부끄러운 나의 github 링크

인기 글

태그

  • spark on centos7
  • 쓰레드와 프로세스
  • 도커파일
  • 멀티 프로그래밍
  • LIVY
  • Tableau
  • #데이터수집
  • flink
  • django
  • 파이썬
  • Api-Gateway
  • #데이터 수집 절차
  • ES
  • filebeat
  • EMR
  • spark with elasticsearch
  • Kinesis
  • spark
  • 서비쿼리
  • logstash
  • Elk
  • CTAS
  • aws builders online series
  • MWAA
  • kafka
  • scikit-learn
  • 네트워크 스위치
  • 프로세스
  • jupyter
  • spark to mysql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목숨건데이터엔지니어

foot-data-engineering

OPEN-JDK 1.8 설치 / ELK 설치 on centos7
각종 기술 삽질하며 익히기 - onpremise

OPEN-JDK 1.8 설치 / ELK 설치 on centos7

2022. 2. 21. 23:12

1) open-jdk 1.8 설치

# yum install java-1.8.0-openjdk
# yum install java-1.8.0-opoenjdk-devel
설치가 완료되면 /usr/bin/경로에 java가 생성됨

 

1-1) 환경변수 등록

/usr/bin/java 경로에 심볼릭 링크가 걸려있기에 실제 경로를 찾아서 환경변수에 등록해야 함

# readlink -f /usr/bin/java
/usr/lib/jvm/java-1.8.0-openjdk-1.8.0.281.b10-1.el7_7.x86_64/jre/bin/java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1-2) 실제 경로를 찾으면 /etc/profile 를 vi로 연다. (JAVA_HOME, PATH, CLASSPATH등록)

# vi /etc/profile

JAVA_HOME=/usr/lib/jvm/java-1.8.0-openjdk-1.8.0.281.b08-0.el7_7.x86_64
PATH=$PATH:$JAVAA_HOME/bin
CLASSPATH=$JAVA_HOME/jre/lib:$JAVA_HOME/lib/tools.jar
 
Export JAVA_HOME PATH CLASSPATH

 

1-3) 환경 변수 등록 후 ssh연결을 재시작하거나 source /etc/profile 명령어를 입력


2) ES 설치

2-1) # java -version 확인

2-2) rpm으로 elasticsearch 설치

   - # rpm --import https://artifacts.elastic.co/GPG-KEY-elasticsearch

   - # vi /etc/yum.repos.d/elasticsearch.repo (vi를 켜준다)

 

[elasticsearch]
name=Elasticsearch repository for 7.x packages
baseurl=https://artifacts.elastic.co/packages/7.x/yum
gpgcheck=1
gpgkey=https://artifacts.elastic.co/GPG-KEY-elasticsearch
enabled=0
autorefresh=1
type=rpm-md

 

  - # yum install –enablerepo=elasticsearch elasticsearch

 

2-3)  Elasticsearch 환경설정

- # vi /etc/elasticsearch/elasticsearch.yml (network.host부분과 http.port부분의 주석(#)을 제거)

 

2-4) systemctl restart Elsaticsearch 다시 재시작 후 정상 설치 확인

- # curl http://127.0.0.1:9200

 


3) Kibana 설치

3-1)  rpm으로 kibana 설치

- # rpm –import https://artifacts.elastic.co/GPG-KEY-elasticsearch

(elasticsearch에서 해줬으면 생략)

- # vi /etc/yum.repos.d/kibana.repo

 

[kibana-7.x]
name=Kibana repository for 7.x packages
baseurl=https://artifacts.elastic.co/packages/7.x/yum
gpgcheck=1
gpgkey=https://artifacts.elastic.co/GPG-KEY-elasticsearch
enabled=1
autorefresh=1
type=rpm-md

 

  -# yum install kibana

3-2) Kibana 환경설정

- # vi /etc/kibana/kibana.yml (아래 부분을 주석처리 제거)

 

 

3-3)  Kibana 재시작 후 정상 설치 확인

- # systemctl restart kibana

-  http://127.0.0.1:5601 (kibana 켜지면 설치 성공)


4) Logstash 설치

4-1) 설치

-  rpm – import https://artifacts.elastic.co/GPG-KEY-elaticsearch

-  vi로 logstash.repo 파일에 아래내용을 입력

 

[logstash-7.x]
name=Elastic repository for 7.x packages
baseurl=https://artifacts.elastic.co/packages/7.x/yum
gpgcheck=1
gpgkey=https://artifacts.elastic.co/GPG-KEY-elasticsearch
enabled=1
autorefresh=1
type=rpm-md

 

-  yum install logstash

 

4-2) filebeat 와 elasticsearch 연결

- # cd /etc/logstash

- vi로 conf파일을 켜주고, input에 host=>”0.0.0.0”을 추가

# vi /etc/logstash/conf.d/first-pipeline.conf

 

- logstash 다시 실행

      # systemctl restart logstash

   

- 설치 확인

      # netstat – anpt | grep 5044

 

'각종 기술 삽질하며 익히기 - onpremi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주키퍼 & 카프카 설치하고 써보기  (0) 2022.02.22
스파크랑 ELASTICSEARCH 연동하기  (0) 2022.02.22
Spark 설치하고 사용해보기  (0) 2022.02.22
하둡 설치 및 예제 실행해보기  (0) 2022.02.22
CENTOS7 install on Virtual Box  (0) 2022.02.21
    '각종 기술 삽질하며 익히기 - onpremi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스파크랑 ELASTICSEARCH 연동하기
    • Spark 설치하고 사용해보기
    • 하둡 설치 및 예제 실행해보기
    • CENTOS7 install on Virtual Box
    목숨건데이터엔지니어
    목숨건데이터엔지니어

    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