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숨건데이터엔지니어
foot-data-engineering
목숨건데이터엔지니어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54)
    • 취업과 기본기 잡기 (11)
      • Python (2)
      • 자료구조 (1)
      • 알고리즘 (1)
      • 운영체제 (2)
      • 네크워크 (1)
      • 데이터베이스 (1)
      • SQL (1)
      • Linux (1)
      • Docker (1)
    • 더 나은 엔지니어가 되기위해 (11)
      • (AWS) api-gateway, kinesis (1)
      • (AWS) MWAA (1)
      • Apache Spark (1)
      • Apache Airflow (1)
      • Apache Kafka (1)
      • Apache Flink (1)
      • Hadoop (1)
      • 알쓸신잡 (4)
    • 데이터와 손잡기 (6)
      • 머신러닝(sklearn) (1)
      • 딥러닝 (3)
      • 오디오 처리 (1)
      • 데이터 시각화 (1)
    • 코딩테스트 잡기 (1)
      • [BOJ] 문제풀이 (0)
      • [프로그래머스] 문제풀이 (0)
      • [HackerRank] SQL (0)
      • 코딩테스트 후기 (1)
    • 토이 프로젝트 (4)
    • 각종 기술 삽질하며 익히기 - onpremise (11)
    • 학습과정 잡동사니 (7)
      • 오답노트 (7)
    • 평소 궁금증 파헤치기 (3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  • 아직 한참 부족하고 부끄러운 나의 github 링크

인기 글

태그

  • Tableau
  • LIVY
  • kafka
  • ES
  • spark with elasticsearch
  • django
  • #데이터 수집 절차
  • filebeat
  • Api-Gateway
  • flink
  • #데이터수집
  • Kinesis
  • EMR
  • jupyter
  • 서비쿼리
  • spark
  • aws builders online series
  • 프로세스
  • 도커파일
  • spark to mysql
  • 파이썬
  • 네트워크 스위치
  • Elk
  • 멀티 프로그래밍
  • 쓰레드와 프로세스
  • scikit-learn
  • spark on centos7
  • CTAS
  • MWAA
  • logstash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목숨건데이터엔지니어

foot-data-engineering

CENTOS7 install on Virtual Box
각종 기술 삽질하며 익히기 - onpremise

CENTOS7 install on Virtual Box

2022. 2. 21. 23:04

1) Cent Os 7 설치

1-1) Virtual Box를 실행해준 후 화면에서 새로 만들기를 클릭

1-2) 사용하고 싶은 이름을 입력해준 후, 종류에서는 Linux를 선택해주고, 버전에는 Red Hat (64-bit)를 선택해주고 다음을 눌러준다.

 

1-3) 가상 머신에서 사용할 메모리를 지정해준다. 1GB(= 1024MB)로 컴퓨터의 사양을 고려해서 만들어주면 된다. 8GB (= 8192MB)로 설정해준다

1-4) 지금 새 가상 하드 디스크 만들기’를 선택 후 ‘만들기’를 눌러준다. (미리 원하는 os다운)

1-5) VDI(VirtualBox 디스크 이미지)’를 선택하여 진행한다

1-6) 동적 할당’을 선택 후 하드 디스크의 용량을 지정해준다

1-7) 새로운 가상 하드 디스크 용량을 100GB로 지정해주면 하나의 가상 머신 생성이 끝난다

1-8) 하드 디스크의 용량까지 지정을 해주면 하나의 가상 머신 생성이 끝난다.

1-9) 가상 머신 부팅하기 전에 마우스 호환을 해주기 위해 설정을 누른 후 시스템에 들어가 포인팅 장치에 있는 것을 ‘USB 멀티터치 태블릿’으로 바꿔준다

1-10) 설정의 시스템에서 프로세서 탭에서 CPU를 2로 설정해준다

1-11) 만들어진 가상 머신을 실행해주면 디스크 선택 화면이 나온다. 폴더 버튼을 눌러준 후 기존에 다운로드 받은 Cent OS 7의 ISO 파일을 선택해준다

 

1-12) 가상 머신 생성 후 설정 부분

***

1. 언어는 한국어 선택

2. 키보드에 영어(미국) 추가

3. 소프트웨어 선택을 누른 후 ‘개발 및 창조를 위한 워킹스테이션’ 선택

4. 설치 대상을 눌러 ‘파티션을 설정합니다’ 선택 후 ‘완료’버튼을 클릭

5.‘여기를 클릭하여 자동으로 생성합니다’를 클릭하여 파티션을 생성

6. /home은 삭제

7. /boot를 눌러 500MB 입력 후 파일 시스템을 ‘ext4’로 설정

8. /swap은 9000MB로 입력 후 파일 시스템을 ‘swap’으로 설정

9. 자동 생성된 루트 디렉토리는 삭제 후 + 버튼을 누른 후 /을 생성하면 자동으로 용량이 설정된다.  해당 파일 시스템을 ‘ext4’로 설정

10. 루트 암호, 사용자 생성 설정, 라이선스 동의, 네트워크 및 호스트 설정

***

 

 

 

 

 

'각종 기술 삽질하며 익히기 - onpremi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주키퍼 & 카프카 설치하고 써보기  (0) 2022.02.22
스파크랑 ELASTICSEARCH 연동하기  (0) 2022.02.22
Spark 설치하고 사용해보기  (0) 2022.02.22
하둡 설치 및 예제 실행해보기  (0) 2022.02.22
OPEN-JDK 1.8 설치 / ELK 설치 on centos7  (0) 2022.02.21
    '각종 기술 삽질하며 익히기 - onpremi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스파크랑 ELASTICSEARCH 연동하기
    • Spark 설치하고 사용해보기
    • 하둡 설치 및 예제 실행해보기
    • OPEN-JDK 1.8 설치 / ELK 설치 on centos7
    목숨건데이터엔지니어
    목숨건데이터엔지니어

    티스토리툴바